728x90

여행 이야기/울산광역시 북구 68

동해선 폐역(廢驛), 옛 호계역(울산숲)을 둘러보다

2025년 3월 22일 토요일.울산호계교회에 있는 이든카페에서 간단히 커피를 마신 후, 도착한 곳은 근처에 있는 호계역이다. 호계역은 과거 단선철길이 다니던 옛 동해선의 주요 정차역으로 무려 1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동해선 복선화 사업을 통해 동해선 단선철길은 역사속으로 자취를 감추었고, 호계역도 폐역(廢驛)되고 북울산역이라는 새로운 역이 다른 곳에 자리하고 있다. 지금은 호계역 옛 건물의 원형만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며, 호계역 승강장은 울산숲으로 새롭게 조성돼있다.  호계역 승강장 안내판. 이미 오래전 폐역했었던 모화역과 효문역 이름이 고스란히 남아이싿. 호계역 옛 건물의 모습. 호계역 역사는 원래 1922년에 세워졌으나, 1950년 무장공비(武裝共匪)의 내습(來襲)으로 소실(消失)되었다..

울산 북구 천곡동(상안동), 농소3동도서관을 방문하다

2025년 3월 22일 토요일. 특근이 없었던 주말 토요일, 울산 북구에 한번 둘러보기로 하였다. 화봉동과 연암동이 있는 북구 남부지역이 아닌 농소공영차고지 윗쪽에 있는 천곡동과 상안동 일대, 그리고 호계쪽을 찾아가보기로 했다. 이곳은 이전에도 업무차 자주 들렀던적이 있기에 나에겐 많이 익숙한 동네기도 했다. 쌍용아진그린타운 아파트단지 일대에 농소3동 도서관이라는 작고 아담한 도서관이 자리하고 있다.  452번 시내버스를 탑승하고 거대한 산업로 도로를 시원하게 달리며 홈플러스북구점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였다. 동천강이 있는 신답교 교량을 사이에 두고 왼쪽은 천곡동과 상안동, 그리고 오른쪽은 호계동과 신천동, 그리고 매곡동이 자리하고 있다. 천곡동과 상안동은 주로 아파트단지들이 많이 밀집돼 있고, 조금 더 깊..

초대작가 박하늬 기획전시 "헬로우 펫밀리" 관람후기 (울산 북구문화예술회관)

2025년 3월 15일 토요일.추적추적 봄비가 내리는 주말 토요일, 오늘은 특근을 하지 않는 날이라 갑작스런 주말을 어떻게 보낼까 고민하던 중, 울산 북구문화예술회관 전시회를 관람하기로 했다. 때마침 박가희 초대작가의 "헬로우 펫밀리" 기획전시가 열리고 있었다.  울산 북구청남문 버스정류장에 도착하면 북구청 바로 앞에 북구문화예술회관이 자리하고 있다. 북구 연암동에 있다.이곳 북구청을 중심으로 주변에 여러 관공서들이 많이 들어서있다.북구문화예술회관 "헬로우 펫밀리" 기획전시 현수막 안내가 걸려있었다.  1층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홍보팜플렛이 있어서 습득하였다.화장실은 1층 로비 안쪽 우측편으로 들어가면 있다.  1층 로비 한가운데에는 "예술책방"이라는 이름의 작은도서관이 마련돼있다.  업라이트 피아노가 북..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3) 제당(祭堂), 염포양정도서관

1편 :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https://u10s11.tistory.com/773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1) 현대자동차 문화회관2024년 10월 5일 토요일.오랜만에 토요일 주말 특근을 하지 않는 토요일,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을 방문해보기로 하였다. 북구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단독으로 법정동과 행정동을 함께 갖고 있u10s11.tistory.com 2편 : 염포시장, 소금포역사관 : https://u10s11.tistory.com/774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2) 염포시장, 소금포역사관1편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https://u10s11.tistory.com/773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1) 현대자동차 문화회관2024년 10월 5일 토요일.오랜만..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2) 염포시장, 소금포역사관

1편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https://u10s11.tistory.com/773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1) 현대자동차 문화회관2024년 10월 5일 토요일.오랜만에 토요일 주말 특근을 하지 않는 토요일,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을 방문해보기로 하였다. 북구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단독으로 법정동과 행정동을 함께 갖고 있u10s11.tistory.com 3편 : 염포동 제당, 염포양정도서관 : https://u10s11.tistory.com/775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3) 제당(祭堂), 염포양정도서관1편 :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https://u10s11.tistory.com/773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1) 현대자동차 문화회관2024년 10월 5일 토..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 둘러보기 (1)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2024년 10월 5일 토요일.오랜만에 토요일 주말 특근을 하지 않는 토요일, 울산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을 방문해보기로 하였다. 북구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단독으로 법정동과 행정동을 함께 갖고 있는 동네가 바로 양정동과 염포동이다. 그 이유는 이곳에 엄청난 규모의 자동차 생산공장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울산대교가 생기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울산 도심과 동구 일대를 오고가기 위해선 반드시 북구 양정동과 염포동을 지나쳐야만 했다. 그리고 이곳엔 단일 공장으로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이 어마무시한 규모로 입주해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염포동은 과거 이곳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부지는 소금을 만들던 염전(鹽田)이 있던 곳이었다. (울산은 과거 삼산동과 염포동 일대가 소금 생산하던 곳이었다.) ..

울산 북구 이화마을, 그리고 기적의도서관에서

2024년 9월 15일 일요일 오후.추석연휴 일요일에 들른 곳은 울산 북구 중산동, 이화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울산 북구 기적의도서관이라는 곳이다. 이화마을은 울산 북구 시내 중심(송정동 일대)에서 경주 외동읍으로 가는 울산의 북부지역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작은 마을이다. 오래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소규모의 아파트단지들도 있는데, 이곳 이화마을 옆으로 흐르는 동천강 자리 한켠에 작은도서관이 있다. "기적의 도서관"이라는 이름은 정말 명칭에 걸맞게 외딴 작은마을에 마을주민들을 위해 기적처럼 세워진 도서관이다. 이곳 도서관도 마찬가지로 다른 도서관들처럼 매주 월요일 휴관이며, 오늘 같은 일요일에도 문을 여는 곳이었다. 예전에도 한번 들른적 있었는데, 오늘도 마침 생각이나서 한번 들러보게 되었다. 이화마을..

울산 북구 강동산하지구, 강동바다도서관에서

2024년 7월 28일 일요일.오랜만에 들른 곳은 울산 북구에 있는 강동산하지구. 최근 이곳에 도서관이 새로 생겼다고 하여 찾아갔다. 도서관의 이름은 '강동바다도서관' 명칭에 맞게 강동몽돌해변과 바다가 한 눈에 보이는 곳에 자리하고 있었다.   약 3층 정도의 규모로 비교적 작은 편에 속하지만, 내부는 2층 어린이자료실과 3층 일반자료실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돼있어 나름 넓직한 편이다. 강동바다도서관 주변 전경도 담아보았다.  층별안내판의 모습. 강동바다도서관은 매주 화요일~일요일까지 개관하며, 월요일은 휴관이라고 한다. 개관시간은 화요일~금요일까지는 9시~밤 8시까지, 토요일과 일요일은 9시부터 저녁 6시까지라고 한다.  1층 로비의 모습. 옥상에는 바다가 한눈에 보이는 쉼터도 있다.  엘리베이터는 울..

울산 북구 송정동, 송정복합문화센터에서

2023.11.25.(토) 대리근린공원과 송정마을애향비를 다녀온 후, 들른 곳은 최근에 개관한 송정복합문화센터이다. 송정복합문화센터는 송정택지지구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개관한지 몇달 채 되지 않은 신축 건물이라서 건물 내부도 쾌적하고 깨끗하였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디자인이 인상적이다. 1층 로비에는 미술전시회도 열리고 있었다. 1층은 카페테리아처럼 돼있는 휴게실도 있다. 정수기가 있어서 물도 마실 수 있었다. 지역주민이라면 누구나 방문해서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매주 월요일이 휴관일이다. 모두 5층 형태로 된 건물이었다. 댄스연습실 음악연습실이 인상적이다. 그 외에 탁구장, 농구장, 테니스장 등 스포츠시설도 있고, 문화센터와 세미나실, 다함께돌봄센터도 있으며, 송정나래도서관이라는 작은 규모의 ..

울산 자동차조선기술관 (북구 매곡동 매곡산업단지)

2023.10.30.(월) 면접보러 가는길에 들른 곳은 자동차조선기술관이다. ㄴ자 형태로된 건물이 인상적이었다. 시설도 상당히 쾌적하고 괜찮았다. 마을버스 940번이 오토밸리로가 있는 매곡119안전센터 방면을 통해 매곡산업단지를 지나가는데, 출퇴근시간때는 지원노선으로 매곡산업단지 내부까지 다니기도 한다. (122, 442, 702번 시내버스도 이와 동일함) 농소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940번 마을버스는 배차간격이 짧고 자주 다니는 편이다. 1층 로비의 내부 모습이다. 조선기술관 건물 답게 앉아서 쉴 수 있는 로비에 선박 모양의 휴게실이 있었다. 1층 로비에서 바라본 정문 출입문의 모습이다. 이곳엔 여러 회사들이 입주하고 있는데, 특별한 제한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였다. 점심시간 쯤에 방문하여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