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여행 이야기/울산광역시 북구 68

울산 통일신라 천년문화재 "어물동마애여래좌상(於勿洞磨崖如來坐像)"

2023.01.30.(월) 금천마을에 있는 누운소나무를 구경하고 방문한 곳은 울산 북구 어물동에 있는 마애사, 그리고 통일신라시대 문화재로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어물동마애여래좌상(於勿洞磨崖如來坐像)이다. 어물동마애여래좌상 문화재를 보러 가는 길이다. 시내버스는 121번을 타고 마애사앞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그러나 121번 버스는 1시간에 1~2대 꼴로 거의 다니지 않고, 주전과 정자해변을 지나는 411번 시내버스도 금천마을 정류장에 하차해서 인도길이 없는 도로를 약 20~30여분 정도 한참을 걸어가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 추천하고 싶지 않다. 따라서 자차를 이용해서 오는게 좋다. 어물동마애여래좌상과 마애사 사찰은 서로 가까이 붙어있기 때문에 같이 구경해도 된다. 411번 버스를 타고 ..

누워있는 형태로 독특하게 자생하는 울산 북구 어물동 "누운소나무"

2023.01.30.(월) 모처럼 쉬는날 월요일에 방문한 곳은 울산 북구 어물동 금천마을에 있는 독특하게 생긴 형태로 자라는 소나무가 있는 "누운소나무"이다. 이름 그대로 소나무가 누워있는 형태로 자라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늘 위로 솟는 소나무와 다른 모습으로 자생하고 있어서 신기하였다. 누운소나무가 이곳 울산 북구 어물동에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알게되어 방문한 것은 아니었고, 사실 마애사 사찰과 어물동마애여래좌상을 보러 가는 길에 우연찮게 찾게되어 구경하였다. 누운소나무와 마애사, 어물동마애여래좌상은 거의 비슷한 동네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세 곳을 동시에 구경해도 된다. 지도상에서 대략 이쯤(붉은색 네모로 표시한 곳)에 누운소나무가 위치하고 있다. 카카오맵에는 따로 표시돼 있지 않았다. 이곳으로 오기..

울산 북구 매곡동 온누리공원의 가을

2022.11.08.(화) 화창한 가을 평일 오후, 매곡산업단지에 방문하기 위해 잠시 들른 곳은 울산 북구 매곡동 매곡고등학교, 매산초등학교 바로 옆에 있는 온누리공원이다. 이곳에선 오토밸리로가 다니는 큰 도로 신기교 교량 아래 보행로를 지나면 매곡일반산업단지로 바로 갈 수 있는 지름길도 있다. 매곡로 매곡천에서 바라본 매곡고등학교와 매산초등학교의 모습이다. 멀리 보이는 아파트는 매곡월드메르디앙월드시티다. 아담한 규모의 매곡도서관도 있다. 시설도 상당히 깨끗하고 좋다. 매곡천을 사이에 두고 매곡고등학교와 매곡도서관을 서로 연결하는 아치형 보행로 교량이다. 태화강 국가정원에 있는 십리대밭교 모습과 비슷하게 생겼다. 매곡천에 하천물이 없는것 같아 보였지만 실제론 조금씩 흐르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매곡고등학..

울산 북구 모듈화산업단지(모듈화산업로)에서

2022.11.05.(토) 주말 당일 아르바이트로 울산 북구 연암동 모듈화산업단지내에 있는 자동차부품 공장에서 생산 일하고 퇴근하는 늦은 오후에 촬영하였다. 현장일이라 몸이 고되고 쉽진 않았다. 모듈화산업단지는 연암동에서도 상당히 멀리 떨어진 곳에 있어서 자차가 아니면 출퇴근하는게 사실상 어렵다.

울산 북구 중앙도서관, 그리고 상방공원에서

2022.10.27.(목) 오후 방문한 곳은 울산 북구 연암동에 있는 울산 북구 중앙도서관, 그리고 상방공원이다. "상방공원"이라는 이름이 어감이 낯설고 익숙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사실 "상방"은 울산 북구 연암동과 함께 옛 지명이었다. 원래 연암동과 함께 "상방동"이라는 지명이 존재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때 행정구역 통합으로 상방동 지명이 사라지면서 지금은 상방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남겨져 있는 것이다. 울산 북구 중앙도서관 후문의 모습이다. 시설이 굉장히 깨끗하고 쾌적하다. 가끔씩 2층 종합자료실에 있는 열람석에서 공부하기도 한다. 상방공원은 울산 북구 중앙도서관 바로 뒷편에 있다. 상방공원에 농구장이 있다.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와 작은 체육시설, 그리고 정자도 몇개 있다. 화봉동에 있는 화봉1교를 ..

울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연구소에서

2022.10.12.(수) 마실가기 위해 잠시 들른 곳은 울산 북구 매곡동 매곡일반산업단지(매곡산단)내에 있는 울산테크노파크 자동차부품기술연구소이다. 재단법인 울산테크노파크는 중구 다운동, 북구 매곡동 등 여러 곳에 본부동과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공통점은 이곳 기관에 방문하기 위해선 교통편이 아주 불편하다. 보통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는 곳에 있기 때문에 자차가 없으면 오기 힘든 외딴 곳에 주로 위치하고 있다. 이곳 매곡산업단지 내에는 유일하게 농소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오토밸리로를 지나 중산동 오토밸리로줌파크 아파트단지를 경유하는 940번 마을버스가 유일하다. 출퇴근시간대에는 매곡산업단지 내부까지 노선이 다니며 그 외 평상시에는 매곡산업단지로 진입하지 않으며, 오토밸리로를 지나 매곡119안전센터를 거..

울산 북구 이화마을, 중산일반산업단지(2차)에서

2022.09.23.(금) 평일 오후 울산 북구 중산동에 있는 이화마을, 그리고 북구중산일반산업단지에 면접 참석차 방문하였다. 이화마을에서 북구중산2차일반산업단지로 가는 좁은 비포장도로길이다. 승용차 한 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길이다. 굳이 이 쪽으로 가게 된 이유는 큰 도로가 있는 중산공업로 도로를 타고 갈려면 매곡동에서 가야하는데, 자차가 없으면 사실상 갈 수 없는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을버스 1대만 지원노선으로 하루 몇대 올까 말까한 아주 외딴 곳에 위치한 산업단지가 바로 중산일반산업단지와 이화일반산업단지이기 때문에 버스로 타고 올 경우, 시내버스로 이화마을 정류장에서 하차 후, 이곳 작은 골목길 같은 도로를 통해 걸어가는게 조금 더 빠르다. 울산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그..

울산 북구 평생학습관 방문기

2022.09.20.(화) 울산 북구 오토밸리복지센터를 둘러본 후, 방문한 곳은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는 울산 북구평생학습관이다. 북구평생학습관 입구의 모습이다. 건물이 최근에 지어진 곳으로 보여진다. 굉장히 예쁘고 깨끗하게 잘 단장돼 있다. 북구평생학습관에 들어서면 깨끗하고 멋진 인테리어와 시설들을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쾌적한 환경과 조용한 분위기가 더욱 괜찮은것 같다. 1층 로비 내부의 모습이다. 마치 카페처럼 예쁘게 단장돼 있다. 각 좌석마다 휴대폰 충전기도 갖춰져 있고, 실제로 유명한 카페에 찾아온 듯한 멋진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실제로 이곳 평생학습관에는 커피, 바리스타, 제빵, 화훼, 미술관련 교육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계단을 올라가면 피아노 소리가 들린다. 층별 안내도이다. 평일임에도..

울산 북구 오토밸리복지센터, 울산노동역사관1987 방문기

2022.09.20.(화) 평일 스케줄이 있어서 들른 곳은 울산 북구청 바로 뒷편에 있는 오토밸리복지센터이다. 이곳은 울산 북구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북구 지역 공공시설 중 하나다. 울산 북구는 독특하게도 울산 북구청을 중심으로 주변에 여러 공공기관들이 한꺼번에 들어서있다. 교통편도 괜찮아서 북구 지역을 오가는 거의 모든 시내버스가 이곳 북구청을 지나가기 때문에 접근성도 상당히 좋다. 1층에는 수영장이 있고, 3층에는 체육관이 있으며, 4층에는 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와 울산노동역사관1987이 있다. 때마침 3층 체육관에는 오후 2시~4시까지 울산북구일자리박람회도 진행되고 있었다. 4층에 있는 울산노동역사관1987이다. 울산의 노동역사를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건물 구조가 조금 독특하게 돼있다.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