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여행 이야기/울산광역시 울주군 129

서영 숲속의 아침뷰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 (울산 웅촌면 곡천리)

2025년 4월 5일 토요일. 춘해보건대학교에서 개화한 벚꽃 구경을 하며 함께 둘러본 곳은 춘해보건대 바로 인근에 있는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이다. 엄밀히 말하면 골조가 한창 올라가며 신축공사가 이뤄지는 현재진행형이 아니며, 공사 중단으로 유치권 행사가 진행 중에 있는 현장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내가 처음으로 접하여 알게 된 것은 TV에서 울산MBC 뉴스를 보게되면서 부터다. 관련 뉴스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www.usmbc.co.kr/article/BjTyeBW-NqLd 보증서 없이 임차인 모집‥ 피해 '일파만파' ::::: 기사보증서 없이 임차인 모집‥ 피해 '일파만파'www.usmbc.co.krhttps://youtu.be/qjR9zWIcQ44?si=ZgIGaEy2cHXpIobu  ..

울산 춘해보건대학교 벚꽃 풍경 (2025년 4월)

2025년 4월 5일 토요일. 아침 일찍 찾아간 곳은 울산 울주군 웅촌면 곡천리에 소재하고 있는 보건의료전문대학인 춘해보건대학교다. 사실 처음부터 벚꽃을 구경하기 위해 일부러 찾아간 것은 아니었고, 최근 울산MBC 뉴스에서 보도된 이곳 대학교 바로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공사 유치권 현장을 보러가기 위해 중간에 마실차 들르게 된 것이다. 관련 뉴스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www.usmbc.co.kr/article/BjTyeBW-NqLd  보증서 없이 임차인 모집‥ 피해 '일파만파' ::::: 기사보증서 없이 임차인 모집‥ 피해 '일파만파'www.usmbc.co.krhttps://youtu.be/qjR9zWIcQ44?si=mo52z36ilvdvCcdC  고연공단이 있는 와지마을 방면으로 가는 71..

울산 울주군 상북면, 양등마을 길천산업단지의 벚꽃 풍경

2025년 3월 28일 금요일 아침. 울산 울주군 상북면 양등마을이 있는 길천산업단지로 출근하는 길에 벚꽃이 만개하고 있었다.내가 사는 울산지역의 경우, 통상 3월 말쯤에 벚꽃이 개화하기 시작하여 4월 초까지 절정을 이룬다. 벚나무 수종으로서 보통 4월에 벚꽃이 개화를 한다.(울산 같은 남부지방은 3월 말쯤) 도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교목(喬木, 또는 큰키나무. 한자어 교(喬)는 높다라는 의미를 갖고있다.)으로 조경공사 할때 길을 안내하거나 시선을 유도하는 유도식재(誘導植栽)로 벚나무가 주로 많이 쓰인다. 그래서 봄철이 되면 이와같이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도심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벚나무는 잎이 넓은 활엽수(闊葉樹)이며, 침엽수(針葉樹)에 비해 화재에 강한 편이다.최근 경남 및 경북지역, 울..

울산 상북면 양등입구, 길천산업단지의 눈내린 모습

3월 봄에 접어들었음에도 눈이 내리고 있었다. 산간지역이 많은 울산 울주군 상북면은 밤새 눈이 내리며 하얀 눈이 소복이 쌓여있었다.아침 출근길, 1713번 좌석버스를 타고 양등입구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여길천산업단지로 출근하는 길에 잠시 멈추고 사진 한장 담아보았다. 2025년 3월 19일 수요일 이른 아침.

울산 울주군 언양읍, 사연댐에 방문하다 (범서읍 사연리泗淵里)

2025년 3월 1일 토요일. 3일 연휴(3월 1일~3월 3일)기간 첫날에 방문한 곳은 울산 울주군 언양읍에 소재하고 있는 사연댐, 그 사연댐에 자리하고 있는 범서읍 사연리(泗淵里)에 다녀왔다. 사연리(泗淵里)는 사일(泗日)마을과 곡연(曲淵)마을이 합쳐진 지명이다. 조선 정조대왕 시절부터 존재했던 곳으로 알려져있으나, 지리적으로 대곡천과 태화강이 만나는 중류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풍부한 하천, 그리고 산과 넓은 농경지가 자리하고 있기에 이미 오랜 옛날부터 촌락을 이루고 사람들이 살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나는 예전부터 언양읍 반연리 일대에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학교가 들어서기 위한 대규모 공사가 진행되던 시절부터 이곳에 사연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됐었다. 사연댐은 1965년도에 조성됐던 ..

눈내리는 울산 울주군 상북면, 양등마을 입구(길천산업단지)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아침. 출근길 비가 내리고 있었다.하지만 1713번 좌석버스를 타고 출근길 양등입구 버스정류장에서 내렸을땐 울주군 상북면은 함박눈이 쏟아지고 있었다. 울산 도심에서 함박눈이 내리는것은 태어나서 평생 손가락에 꼽을만큼 극히 드문일이다.  눈이 쌓여있는 울산의 설경 모습, 그리고 작은 마을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아스팔트 위로 눈이 소복이 쌓여있다.  양등마을 양등교의 모습. 길천산업단지 및 상북농공단지와 연결돼있다.오른쪽편에 보이는 건물은 앱티브(APTIV) 케이유엠(유) 상북공장이다. 건천(乾川)이 흐르는 태화강 상류 지역은 얼음으로 가득하다. 상북농공단지로 진입하는 입구의 모습. 길천산업로 도로의 눈 쌓여있는 모습. 길천산업단지 양등교교차로 앞에 조성돼 있는 작은 공원의 모..

눈이 내린 울산 울주군 상북면, 길천산업단지(양등마을)에서

2025년 1월 8일 수요일 늦은 밤. 잔업을 마치고 퇴근 후 한밤중 어머님으로부터 나의 큰아버지(백부님, 어머님에게는 큰아주버님)께서 상(喪)을 당하셨다는 부고(訃告)를 전달받았다. 지금은 사라진 울산 남구 매암동 대일(大日)에 거주하셨던 3남 1녀 중 장남이셨던 큰아버지께선 학창시절 공부를 엄청 잘하는 엘리트이셨다고 한다. 6.25 한국전쟁의 전란을 겪으셨으며,(당시 매암동 대일에서 주둔 중이던 미군부대에서 폭약 폭발사고도 있었다. 나의 아버지 말씀으로는 이 사고로 대일에 있는 온 동네 집들이 일부가 부서지거나 무너지기도 했었고, 당시 사립학교였던 울산 대현중학교로 온 가족이 대피 했었다고 한다. 참고로 연예인 김태희씨도 공립으로 전환된 울산 대현중학교 출신이며, 나의 아버지께선 예전 사립학교였던 대..

울산 상북면 궁근정리, 찬물내기 (길천산업단지 방면)

2024년 12월 30일 월요일.치과 진료를 받기 위해 오후 반차를 내고 점심시간 퇴근하던 길에 촬영하였다.이곳 상북면 궁근정리는 양등마을이 있는 양등리, 그리고 길천산업단지가 있는 거리로 가는 태화강을 서로 마주하고 있다. 양등입구 버스정류장에 하차하면 양등교를 건너기 위해 반드시 궁근정리를 지나야 하는데, 지나는 과정에서 "찬물내기"라 적힌 버스정류장을 마주하게 된다.    "찬물내기"가 무엇일까. 화물차량들이 바삐 오고가는 양등교 입구에 나무로된 안내판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찬물내기는 마을 이름이었다고 한다. 찬물(냉수)이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마을이라고 한다. 무심코 지나가던 이 지명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내가 거주하고 있는 울산 남구에서도 "찬물새미"라는 비슷한 지명이 존재했..

울산 울주군 온양읍, 발리(鉢里) 상발리(上鉢里) 마을에서

2024년 12월 29일 일요일.연말에 방문한 곳은 울산 울주군 온양읍 발리(鉢里)이다. "발리"라고 해서 인도네시아 발리를 떠올리기 쉬우나, 온양읍 마을의 지명 이름이다. 발리(鉢里)는 크게 상발리마을과 하발리마을로 나뉘어져있다. 상발리(上鉢里)는 현재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설만큼 도시화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남부노인복지관과 남부장애인보로작업장도 이곳에 있으며, 친구와 함께 가끔씩 들러 커피를 마시고가는 "더웨이31" 카페도 간절곶과 남창 사이를 오고가는 온양로 도로가에 자리하고 있다. 발리는 울산에서도 유명한 간절곶, 그리고 고리원자력발전소로 가는 중간 길목에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남창역을 중심으로 한 온양읍 시내, 남창리와 대안리, 운화리에서도 제법 외딴 곳에 있는 곳이 발리이..

울주군 상북면 길천산업단지, 양등마을 양등교에서

2024년 12월 27일 금요일.시내버스 노선이 개편된지 1주일도 채 되지 않은 12월 27일 금요일.새벽 5시에 석남사를 출발하여 태화강역을 경유, 다시 석남사로 복귀하는 1713번 좌석버스를 타고 양등입구 버스정류장에서 하차, 길천산업단지가 있는 양등마을로 향하는 길에 양등교 다리 위에서 아침 6시 50분경 촬영한 모습이다. 겨울의 어둑한 모습으로 이제 막 일출(日出)하기 시작하는 모습이다.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기존에 태화강역에서 출발하여 석남사를 기점으로 하는 807번 노선이 사라지고 그 대신 율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413번 노선으로 축소 변경되었다. 사실상 울산 시내에서 석남사에 시내버스를 통해 갈려면 무조건 환승을 하거나 아니면 좌석버스를 이용해야만 한다. 개편 첫날 평일부터 불편함은 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