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여행 이야기/울산광역시 남구 155

울산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청사

2023.11.10.(금) 면접보러 가는 길에 들른 곳은 울산신항 인근이다. 사진은 울산 남구 신항로(황성동) 소재하고 있는 울산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청사의 모습이다. 약 5층 규모로 추정된다. 터미널 청사 건물 내부에는 물류업체 사무실들이 많이 입주하고 있다. 1층은 수 많은 컨테이너 추레라 차량들이 20피트 40피트 등 다양한 선주들의 컨테이너를 싣고 분주하게 오고가고 있다. 보통 컨테이너는 20피트, 40피트가 있는데, 20피트 1단위를 TEU, 40피트 1단위를 FEU라고 한다. 실무에서는 주로 1 TEU라는, 20피트를 기준으로 많이 쓴다. 어쨋든 이곳 울산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청사 내부의 까다로운 보안 절차를 거치면 이곳 건물 안에 들어갈 수 있다. 실제로 예전 20대 시절, 이곳 터미널청사에..

울산 남구 신정동 사당이 있는 봉월단(奉月壇)

2023.11.07.(화) 학성선원은 들른 후, 방문한 곳은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1동 산86-14 소재하고 있는 봉월단(奉月壇)이라고 하는 곳이다. 효자 성균생원 송선생 제단이라고 한다. 원래는 북구 효문동에 있었으나, 울산 신정동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효자 송도선생에 관한 내용이 쓰여져있다. 조선 초기 세종때 울산 효문동에 살았던 인물이라고 한다. #봉월단 #신정동제단 #울산제당 #울산남구사당 #울산사당 #효자송도선생 #울산봉월단

울산 남구 신정동 사찰, (재)선학원 학성선원(鶴城禪院)

2023.11.07.(화) 평일 화창한 오전 산책하다 들른 곳은 울산 남구 신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선학원(禪學院) 학성선원(鶴城禪院)이다. 학성선원(鶴城禪院)이 중구 학성동이 아닌 신정동에 있는 것이 다소 의아하였다. 알고보니 원래 학성선원은 1920년대 까지만 하여도 초기에는 중구 학성동에 있었으나, 1970년대 쯤에 이곳 남구 신정동으로 이전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한다. 이곳 학성선원은 서울 종로구 안국동 40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재)선학원(禪學院) 소속의 사찰로 지역 소속분원 중 하나다.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알고 있는 (재)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아닌 (재)선학원(禪學院) 소속의 사찰이다. 즉, 불교라는 뿌리는 서로 같지만 법인(비영리법인-재단법인)이 서로 다르다. 대..

환경박사 장재연 바다생물 이야기 - 바다생물 사진展 (장생포초등학교)

2023.11.05.(일) 주말 휴일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장생포동에 있는 장생포초등학교이다. 장생포문화창고에 잠시 들렀다 이곳 장생포초등학교에서 눈에 띄는 사진 전시회가 있어서 둘러보았다. "환경박사 장재연의 바다생물 이야기" 사진전시회는 2023.10.23(월)부터 11월 23일(목)까지 울산 남구 장생포초등학교 등굣길에서 진행된다. 관람비용은 당연히 무료다. 멋지고 신기한 사진들이 많았다. 멸종위기 해양생물도 있다고 한다. 티비에서 자주 봤던 바다생물도 있는것 같다. "니모를 찾아서"로 유명한 아네모네피쉬라고 한다. 바다생물들이 정말 독특하고 신기한 점은 수컷이 암컷으로 바뀌는 등 성역할을 모두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네모네피쉬도 암컷이 죽거나 없어지면 수컷이 암컷으로 스스로 성전환을 한다고 한..

울산 남구 청소년 진로직업체험센터(차오름센터)에서

2023.11.02.(목) 평일 잠시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옥동 울산지방법원 앞 법대로길에 자리하고 있는 청소년 진로직업체험센터(차오름센터)이다. ㄱ자형 건물이 인상적이었다. 청소년 차오름센터라 해서 키즈카페처럼 아이들만 올 수 있는 곳은 아니고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출입 가능한것 같다. 사실 이곳 차오름센터와 울산지방법원으로 올라가는 도로, 맞은편 공영주차장은 옛 울산지방법원과 울산지방검찰청이 있던 자리다. 지금은 법원과 검찰청 신청사 건물이 뒷쪽으로 이전하면서 굉장히 크고 화려해졌지만, 과거엔 이곳 차오름센터와 공영주차장 자리엔 조그만한 구청사 건물이었다. 지금은 철거되어 옛 건물이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차오름센터 1층에는 위드카페라는 커피숍도 있다. 누구나 찾아와서 커피를 마시며 시간 보낼 ..

울산 남구 매암동, 대일(大日)의 옛 모습 (희귀사진)

최근 울산 남구 매암동에 있는 "양죽부락 옛터비" 망향비동산을 방문하게 되면서 그동안 우리집 장롱속에 깊숙이 보관하고 있던 사진첩을 꺼내보기로 하였다. 그 이유는 나의 할아버지, 할머니(두분 모두 1910년대 출생하셨다.)와 아버지(1944년생으로 울산 남구의 산업화 과도기를 모두 겪으셨던 산증인, 토박이시다.)께서 과거 이곳 울산 남구 매암동 대일(大日)에서 마을이 철거되기 이전까지 약 30여년을 오랫동안 거주하셨기 때문이다. 아버지께선 젊은시절 옛 동양나이론(지금의 효성) 현장직에 근무하시면서 틈틈이 필름카메라로 사진촬영 하는것이 취미셨기에 정말 다행스럽게도 매암동의 옛 모습들이 비록 몇 장밖에 없는 사진이지만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스캐너가 없는 관계로 휴대폰 카메라로 옛 원본 사진들을 하나씩 선명..

울산 남구 여천동 울산항선, 여천1건널목에서

2023.10.23.(월) 면접 참석차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여천동에 있는 울산항선 여천1건널목을 찾았다. 여천1건널목을 가기 위해 울산 남구 여천동 방면으로 울산도서관 아래 여천천 산책로를 따라 계속 걸어갔다. 여천교와 동해선 고가철교를 지나가면 어느 순간 롯데정밀화학 방면이 있는 울산 남구 여천동이 나온다. 멀리 삼산동 울산한화꿈에그린 1,2단지 아파트와 현대문화 1,2차 아파트가 보인다. 여천천에 있는 수문시설이다. 왼쪽이 롯데정밀화학 방면이다. 울산 남구 여천동에 도착했다. 이곳은 시내버스도 거의 다니지 않는다. 하루 4대꼴로 다니는 226번(부두 방면) 버스가 유일하다. 강달삼거리의 모습이다. 왼쪽에 씨유여천공단점이 있다. 씨유에 잠시 들러 음료수도 마시고 면접보러 갈 준비도 했다. 이곳 회사..

2023 올해의 작가 개인展 5부 전시회 관람후기 (울산문화예술회관)

2023.10.15.(일) 휴일 방문했던 곳은 울산문화예술회관에 있는 상설전시장이다. 이곳에서 2023 올해의 작가 개인展 5부 전시회 중에서 이지혜 작가님의 개인展이 열리고 있었다. 정말 시선에 압도되는 예쁘고 몽환적인 미술 작품들이 많았다. 상설전시장은 울산문화예술회관 주차장과 바로 연결돼 있다. 전시기간은 올해 2023년 10월 15일부터 2023년 12월 28일까지, 75일간 열린다. 예쁘고 멋진 미술작품들을 잠시나마 시간내어 관람할 수 있어서 좋았다. #올해의작가개인전 #개인전전시회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전시회 #울산남구가볼만한곳 #울산미술전시회가볼만한곳 #울산상설전시장 #상설전시회

꿈꾸는 청년, 울산展 청년작가 연합전시회 관람 후기 (장생포 문화창고)

2023.09.27.(수) 추석연휴를 앞두고 주간조 근무 퇴근 후 들른 곳은 장생포문화창고 3층 갤러리B에서 진행되고 있는 "꿈꾸는 청년, 울산展" 전시회 관람을 다녀왔다. 전시회 기간은 2023년 9월 23일(토)부터 2023년 10월 22일(일)까지로 현재는 종료된 상태다. 개인적으로 좋아했던 작품들을 사진으로 담아보았다. 이지혜 작가님의 작품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가 담긴 작품이라고 한다. 허예미 작가님의 작품이다. "나는 꿈꾼다"에 개인적 바람도 써서 붙여보았다. 최진실 작가님의 작품이다. "나는 꿈꾼다"에 개인적 바람도 써서 붙여보았다. 추석연휴를 앞두고 짧은시간이었지만 힐링하며 예쁘고 멋진 작품들을 재미있게 구경하고 왔다. #장생포문화창고 #울산전시회 #꿈꾸는청년울산전 #청년작가전시회 ..

울산신항, 용연건널목에서 (남구 황성동 黃城洞)

2023.10.13.(금) 면접보러 가는 길에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황성동(黃城洞)에 있는 울산신항 바로 근처에 자리한 용연건널목이다. '황성동'은 울산시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울산신항과 SK케미칼 공장이 있는 곳이다. 황성동은 옛 황암마을(黃岩)과 성외마을(城外) 이름이 합쳐져서 붙여진 지명이다. 과거 울산신항이 조성되기 이전까지만 하여도 황성동에는 사람이 살던 곳이었고, 시골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주택들과 횟집도 있었던걸로 기억한다. 그러나 울산신항과 국제물류센터가 조성되면서 지금은 모두 사라졌다. 이곳 황성동의 실질적 행정역할을 하는 곳은 선암동이다. 이곳은 '울산신항선'이라 하는 단선철도가 있다. 그 흔한 전차선이 없으며, 디젤기관차만 다닐 수 있다. 컨테이너를 철도를 이용해서 운송하기 위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