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울산중구가볼만한곳 43

울산 중구 약사동 작은도서관, 약숫골도서관

2023.01.28.(토) 모처럼 주말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약사동 중구청 인근 약사동행정복지센터 내에 있는 작은도서관 약숫골도서관에 다녀왔다. "약수골(약숫골)"은 이곳 약사동(藥泗洞)이 과거 약수(藥水)가 나오는 약물탕(약수탕-藥水湯)이 있기에 약수골이라 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약사동 작은도서관도 약수골이라는 이름에서 따온 "약숫골도서관"이라 지어졌다. 빼곡하게 들어선 아파트단지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약숫골도서관은 약사동행정복지센터 건물 3,4층에 자리하고 있다. 2013년도에 개관하였다고 한다. 올해로 10주년을 맞는다. 약사동행정복지센터는 월~금요일까지만 민원 업무를 보기 때문에 1,2층은 개방하지 않지만, 약숫골도서관이 있는 3,4층은 다른 공공도서관들처럼 주말에도 개방을 한다. (월요일은..

울산 중구 다운동, 다전생태공원에서 (2)

2023.01.22.(일) 설날연휴 당일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다운동에 있는 다전생태공원이다. 다전(茶田)은 다운동의 옛 지명이기도 하다. 1편 : https://u10s11.tistory.com/569 울산 중구 다운동, 다전생태공원에서 (1) 2023.01.22.(일) 설날연휴 당일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다운동에 있는 다전생태공원이다. 다전(茶田)은 다운동의 옛 지명이기도 하다. 다전생태공원은 다운동의 학군이 있는 다전초등학교, 다운중 u10s11.tistory.com 아이들을 위한 각종 체험학습장도 잘 되어있었다. 산책하기에도 괜찮은 곳인것 같다. 보행자만 다닐 수 있는 교량이다. 억수탕이라는 목욕탕이다. 외관으로 보기에도 정말 "억수로" 오래된 목욕탕 같다. #울산가볼만한곳 #울산중구가볼만한곳..

울산 중구 다운동, 다전생태공원에서 (1)

2023.01.22.(일) 설날연휴 당일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다운동에 있는 다전생태공원이다. 다전(茶田)은 다운동의 옛 지명이기도 하다. 다전생태공원은 다운동의 학군이 있는 다전초등학교, 다운중학교, 다운고등학교가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대학생시절, 다운중학교에 자원봉사활동을 하러간적이 있었던걸로 기억한다. 그때 당시엔 다전생태공원은 없었다. 다운아파트가 보인다. 멀리 보이는 곳은 다운동아큰마을아파트이다. 태화강으로 유입되는 척과천이다. 다운동 동네와 다운학군 사이를 흐르고 있다. 지금은 강물이 없지만 여름철 집중호우엔 강물이 크게 불어나기도 한다. 침수차량 발생시 적치하는 곳이라고 한다. 다운동은 과거 차밭이었던 곳이라서 차나무도 있다. 다운고등학교의 모습이다. 공용화장실이 있다. 별로 깨끗하진..

울산 중구 성안동, 숯못저수지에서

2023.01.21.(토) 백양사에 들렀다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성안동 한국방송통신대학 울산지역대학내에 자리하고 있는 숯못저수지에 방문하였다. 산지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성안동 도심 속에 넓은 저수지가 있어서 신기하였다. 뒷편에 보이는 건물은 한국방송통신대학 울산지역대학이다. 저수지내 보행구간은 아직 공사중인것 같다. "성안 숯못 생태공원"이라 돼있다. #숯못저수지 #숯못생태공원 #성안숯못생태공원 #울산가볼만한곳 #울산중구가볼만한곳 #성안동가볼만한곳 #성안동저수지 #성안동산책하기좋은곳 #성안동산책길

울산 중구 성안동, 함월산에 자리한 백양사 (2)

2023.01.21.(토) 설날연휴 첫날, 모처럼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성안동 함월산에 자리하고 있는 백양사에 다녀왔다. 1편 : https://u10s11.tistory.com/566 울산 중구 성안동, 함월산에 자리한 백양사 (1) 2023.01.21.(토) 설날연휴 첫날, 모처럼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성안동 함월산에 자리하고 있는 백양사에 다녀왔다.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인 백양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됐다고 한다. 역사가 u10s11.tistory.com 대웅보전 외에도 여러가지 건물들이 있다. 산신각, 칠성각도 있다. 사찰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문이 한지로 붙여져 있어서 신기하였다. 길고양이들도 보였다. 이곳은 칠성각이다. 산신각으로 가는 길이다. 산신각은 백양사 가장 위에 있다. 비석들도 세..

울산 중구 성안동, 함월산에 자리한 백양사 (1)

2023.01.21.(토) 설날연휴 첫날, 모처럼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성안동 함월산에 자리하고 있는 백양사에 다녀왔다.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인 백양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됐다고 한다. 역사가 굉장히 오래된 곳이다. 울산에서도 제법 규모가 큰 절이다. 백양사 입구 주변은 돌과 조경수로 석축돼 있었다. 그리고 입구에는 "함월산 백양사"라 표기돼 있었다. 함월산은 울산 중구 성안동 한가운데에 있는 200m 남짓한 작은 산이다. 백양사로 가기 위해서는 시내버스로는 주로 824번, 827번, 408번 노선 등이 다니며, 마을버스는 14번이 다니고 있다. 백양사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면 바로 백양사가 있다. 257번 버스도 있으나, 거의 2~3시간에 한대꼴로 다녀서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 이용하기 힘들다. 백양사..

울산 프로농구 정규시즌 - SPOTV 중계방송 보조 알바 후기 (동천체육관)

2022.11.19.(토) 주말 토요일, 울산 종합운동장 바로 옆에 있는 동천체육관에 방문하였다. 방문하게 된 것은 오늘 프로농구 정규시즌으로 서울 삼성과 울산 현대모비스 경기가 이곳 동천체육관에서 진행되어 SPOTV 중계방송 진행을 보조하는 당일 아르바이트를 하기 위해서였다. 사실 난 스포츠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처음엔 단지 일해서 하루 일당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찾아왔다. 20살 시절, 야구경기를 관람하러 부산 사직구장에 친구따라 가본 이후로 (사실 프로야구도 전혀 관심이 없고, 친구들이 야구를 좋아해서 그냥 따라간것 뿐이었다.) 스포츠경기를 경기장에서 직접 본것은 생전 처음이었다. 오전 9시까지 SPOTV 방송 중계차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면 된다는 안내를 받았었다. 예정 시간보다 조금 일찍 도착해..

나의 이야기 2022.11.20

작은도서관이 있는 중구 남외동, 정지말공원 산책하기

2022.11.15.(화) 평일 오후 방문한 곳은 울산 중구 남외동 남외초등학교와 남외중학교 옆에 자리한 정지말공원이라 하는 곳이다. 병영사거리에서도 가깝다. 이곳을 "정지말"이라 불리는 이유에 대해 네이버 블로그 등을 검색해보니 "산전샘 끝에 있는 마을"이라는 한자어라고 한다. 얼핏 들어보면 "정지"라는 어감 때문에 "멈추다"라는 뜻으로 이해될수도 있을것 같다. 정지말(井之末), 즉 우물(산전샘) 끝(말)에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남외동 일대 안가운데에 자리하고 있음에도 비교적 넓게 공원이 조성돼 있었다. 정지말공원 안에는 제 8대 국회부의장으로 지내신 울산 북구 진장동 출신의 정해영 선생 송덕비(頌德碑)가 설치돼 있다. 여기서 송덕비(頌德碑)는 "벼슬에 오른 관료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을 ..

한국에너지공단 울산 우정혁신도시 본사 방문기 (홍보관 넥스테이지 NEXTAGE)

2022.09.21.(수) 방문한 곳은 울산 우정혁신도시에 있는 한국에너지공단 본사이다. 이곳 신청사 1층 로비에는 "넥스테이지(NEXTAGE)"라는 홍보관이 있다고 하여 시간내서 찾아가보았다. 한국에너지공단 입구의 모습이다. 시내버스로는 성안동, 다운동 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근로복지공단 산업인력공단"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시내버스가 생각외로 잘 다니지 않는 편이다. 사진 왼쪽에 보이는 거대한 건물은 "울산타워더모스트 오피스텔"이다. "에너지"라는 취지에 걸맞게 입구 안내실부터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실제 이곳 한국에너지공단 신청사 건물은 건물에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신재생에너지 설비 기술들이 갖춰져 있다고 한다. 일반인들 누구나 가서 구경할 수 있는 홍보관으로 가..

울산 중구 우정동 불선바위공원, 우정혁신도시 가는길

2022.09.21.(수) 화창한 오후 방문한 곳은 우정혁신도시 한국에너지공단으로 가는길에 우정동 산동네 일대와 불선바위공원을 지나갔다. 불선바위공원 인근에서 바라본 우정동, 교동 일대의 모습이다. 울산 중구는 독특하게도 산악 지형을 중심으로 주택이 많이 형성돼있다. 사실 우정혁신도시와 성안동 일대도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특정 지역의 저지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실제로 몇년전 태풍 '차바'가 발생했을 당시 집중호우로 빗물이 중구 일대의 산악지형을 타고 아래 동네 저지대까지 흘러 내려가면서 태화동 일대가 침수되는 큰 피해를 겪기도 했다. 울산 중구는 울산의 다른 어떤 지역들보다도 배수시설이 잘 갖춰져야 하는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