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801

울산 남구 신정동 사찰, (재)선학원 학성선원(鶴城禪院)

2023.11.07.(화) 평일 화창한 오전 산책하다 들른 곳은 울산 남구 신정동에 소재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선학원(禪學院) 학성선원(鶴城禪院)이다. 학성선원(鶴城禪院)이 중구 학성동이 아닌 신정동에 있는 것이 다소 의아하였다. 알고보니 원래 학성선원은 1920년대 까지만 하여도 초기에는 중구 학성동에 있었으나, 1970년대 쯤에 이곳 남구 신정동으로 이전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한다. 이곳 학성선원은 서울 종로구 안국동 40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재)선학원(禪學院) 소속의 사찰로 지역 소속분원 중 하나다.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알고 있는 (재)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아닌 (재)선학원(禪學院) 소속의 사찰이다. 즉, 불교라는 뿌리는 서로 같지만 법인(비영리법인-재단법인)이 서로 다르다. 대..

환경박사 장재연 바다생물 이야기 - 바다생물 사진展 (장생포초등학교)

2023.11.05.(일) 주말 휴일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장생포동에 있는 장생포초등학교이다. 장생포문화창고에 잠시 들렀다 이곳 장생포초등학교에서 눈에 띄는 사진 전시회가 있어서 둘러보았다. "환경박사 장재연의 바다생물 이야기" 사진전시회는 2023.10.23(월)부터 11월 23일(목)까지 울산 남구 장생포초등학교 등굣길에서 진행된다. 관람비용은 당연히 무료다. 멋지고 신기한 사진들이 많았다. 멸종위기 해양생물도 있다고 한다. 티비에서 자주 봤던 바다생물도 있는것 같다. "니모를 찾아서"로 유명한 아네모네피쉬라고 한다. 바다생물들이 정말 독특하고 신기한 점은 수컷이 암컷으로 바뀌는 등 성역할을 모두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네모네피쉬도 암컷이 죽거나 없어지면 수컷이 암컷으로 스스로 성전환을 한다고 한..

울산 남구 청소년 진로직업체험센터(차오름센터)에서

2023.11.02.(목) 평일 잠시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옥동 울산지방법원 앞 법대로길에 자리하고 있는 청소년 진로직업체험센터(차오름센터)이다. ㄱ자형 건물이 인상적이었다. 청소년 차오름센터라 해서 키즈카페처럼 아이들만 올 수 있는 곳은 아니고 누구나 특별한 제한 없이 출입 가능한것 같다. 사실 이곳 차오름센터와 울산지방법원으로 올라가는 도로, 맞은편 공영주차장은 옛 울산지방법원과 울산지방검찰청이 있던 자리다. 지금은 법원과 검찰청 신청사 건물이 뒷쪽으로 이전하면서 굉장히 크고 화려해졌지만, 과거엔 이곳 차오름센터와 공영주차장 자리엔 조그만한 구청사 건물이었다. 지금은 철거되어 옛 건물이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차오름센터 1층에는 위드카페라는 커피숍도 있다. 누구나 찾아와서 커피를 마시며 시간 보낼 ..

울산 인적이 드문 도심속 덕신근린공원에서 (온산읍 덕신리)

2023.10.29.(일) 일요일 방문한 곳은 울산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에 있는 덕신근린공원이다. 이곳을 우연히 알게 된 건 온산문화체육센터가 있는 대덕도서관에 들르기 위해 카카오맵을 켜서 버스노선과 지도를 검색하던 중 '덕신근린공원'이라 적혀있는 공원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가화파티오아파트 뒷편에 덕신 제2공원이 있는건 알고 있었지만, 이곳에도 공원이 있는것은 처음 알게 되었다. 덕신근린공원(또는 덕신공원)으로 가기 위해선 무림피앤피 사원주택아파트가 있는 덕신리 동네에서도 가장 아랫쪽으로 내려가면 된다. 깨끗하게 조성된 길이 인상적이다. 무림피앤피 사택 도로를 걸어가다 보면 윗쪽에 사람이 올라갈 수 있는 등산로처럼 생긴 나무보행로가 보인다. 이곳이 덕신근린공원으로 가는 곳이다. 덕신근린공원은 작은 산에..

울산 자동차조선기술관 (북구 매곡동 매곡산업단지)

2023.10.30.(월) 면접보러 가는길에 들른 곳은 자동차조선기술관이다. ㄴ자 형태로된 건물이 인상적이었다. 시설도 상당히 쾌적하고 괜찮았다. 마을버스 940번이 오토밸리로가 있는 매곡119안전센터 방면을 통해 매곡산업단지를 지나가는데, 출퇴근시간때는 지원노선으로 매곡산업단지 내부까지 다니기도 한다. (122, 442, 702번 시내버스도 이와 동일함) 농소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940번 마을버스는 배차간격이 짧고 자주 다니는 편이다. 1층 로비의 내부 모습이다. 조선기술관 건물 답게 앉아서 쉴 수 있는 로비에 선박 모양의 휴게실이 있었다. 1층 로비에서 바라본 정문 출입문의 모습이다. 이곳엔 여러 회사들이 입주하고 있는데, 특별한 제한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였다. 점심시간 쯤에 방문하여서..

울산 남구 매암동, 대일(大日)의 옛 모습 (희귀사진)

최근 울산 남구 매암동에 있는 "양죽부락 옛터비" 망향비동산을 방문하게 되면서 그동안 우리집 장롱속에 깊숙이 보관하고 있던 사진첩을 꺼내보기로 하였다. 그 이유는 나의 할아버지, 할머니(두분 모두 1910년대 출생하셨다.)와 아버지(1944년생으로 울산 남구의 산업화 과도기를 모두 겪으셨던 산증인, 토박이시다.)께서 과거 이곳 울산 남구 매암동 대일(大日)에서 마을이 철거되기 이전까지 약 30여년을 오랫동안 거주하셨기 때문이다. 아버지께선 젊은시절 옛 동양나이론(지금의 효성) 현장직에 근무하시면서 틈틈이 필름카메라로 사진촬영 하는것이 취미셨기에 정말 다행스럽게도 매암동의 옛 모습들이 비록 몇 장밖에 없는 사진이지만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스캐너가 없는 관계로 휴대폰 카메라로 옛 원본 사진들을 하나씩 선명..

울산 남구 양죽부락 옛터비 건너편에 있는 양죽마루, 애기목 옛 당수나무터

2023.10.25.(수) 울산 남구 매암동에 있는 "양죽부락 옛터비"라고 하는 4개의 애향비(망향비) 비석(碑石)이 있는 양죽마을 애향비동산을 구경하고 나서 바로 건너편에 있는 "양죽마루"라고 하는 정자와 600여년 자생했던 옛 당수나무터가 있는 애기목, 그리고 양죽마을 옛제당터가 있는 곳에 방문하기로 했다. 모두 같은 위치에 있으며, 작디 작은 공원 형식(공원이라 하기엔 민망하지만..)으로 존재하고 있다. 매암동 옛 양죽마을과 관련된 양죽부락 옛터비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https://u10s11.tistory.com/670 울산 남구 매암동 옛 양죽마을, 양죽부락 옛터비(碑石) 2023.10.25.(수)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매암동에 있는 "양죽부락 옛터비"라고 하는 비석(碑石)이다. ..

울산 남구 매암동 옛 양죽마을, 양죽부락 옛터비(碑石)

2023.10.25.(수)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매암동에 있는 "양죽부락 옛터비"라고 하는 비석(碑石)이 있는 애향비동산이다. 이곳에 방문하게 된 이유는 예전에 매암동(장생포고래로) 방면에 있던 수출포장 회사에 다녔던 적이 있는데, '양죽마을'이라는 버스정류장을 출퇴근하며 지나치는 과정에서 무심코 시내버스 창밖으로 보통 매암동에 있는 흔한 공장이 아닌 서로 다른 크기의 비석 4개와 대나무들이 수놓여져 있는 것을 우연찮게 봤었기 때문이다. 매암동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이질적인 모습이 신기하였고 나중에 시간되면 한번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때마침 내일 이직하는 다른 회사 출근을 앞두고 오늘 시간이 남아 방문하게 되었다. 장생포와 매암동 방면의 회사를 다니거나 장생포고래박물관, 장생포고래문화마을, 장생포문..

울산 남구 여천동 울산항선, 여천1건널목에서

2023.10.23.(월) 면접 참석차 방문한 곳은 울산 남구 여천동에 있는 울산항선 여천1건널목을 찾았다. 여천1건널목을 가기 위해 울산 남구 여천동 방면으로 울산도서관 아래 여천천 산책로를 따라 계속 걸어갔다. 여천교와 동해선 고가철교를 지나가면 어느 순간 롯데정밀화학 방면이 있는 울산 남구 여천동이 나온다. 멀리 삼산동 울산한화꿈에그린 1,2단지 아파트와 현대문화 1,2차 아파트가 보인다. 여천천에 있는 수문시설이다. 왼쪽이 롯데정밀화학 방면이다. 울산 남구 여천동에 도착했다. 이곳은 시내버스도 거의 다니지 않는다. 하루 4대꼴로 다니는 226번(부두 방면) 버스가 유일하다. 강달삼거리의 모습이다. 왼쪽에 씨유여천공단점이 있다. 씨유에 잠시 들러 음료수도 마시고 면접보러 갈 준비도 했다. 이곳 회사..

2023 하반기 자동차 부품산업 채용박람회 참석 후기 (오토밸리복지센터)

2023.10.19.(목) 오전에 오복마을에 있는 회사에 면접을 보고 오후에 들른 곳은 울산 북구 연암동 오토밸리복지센터이다. 이곳 3층 체육관에서 2023 하반기 자동차 부품산업 채용박람회가 열린다고 하여 방문하였다. 채용박람회가 열린 북구 오토밸리복지센터이다. 이곳엔 북구 시설관리공단도 있다. 자동차부품산업 채용박람회는 2023년 10월 19일(목)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3시간 동안 열린다고 하였다. 오후 1시 50분쯤 도착하니 나와 같은 많은 구직자들이 도착해 있었다. 사람들이 워낙 많아서 체육관 전체 모습을 사진으로 담진 못하여다. 참여기업은 크게 간접참여(면접절차 없이 이력서를 통합담당자에게 제출)와 직접참여(해당 회사 인사담당자에게 부스에서 직접 이력서 제출하고 현장 면접) 방식이 있는데, ..

728x90